경영공부

경영학의 발달 3

라장 2023. 5. 17. 15:02
반응형

저번 글에 이어서 경영학 이론의 통합화 시도의 나머지 글을 써보고자 한다.

 

(2) 폐쇄-사회적 조직이론

- 조직을 외부환경과 관계없는 폐쇄체계로 파악하였지만, 조직구성원들의 인간적인 측면을 수용하고 있는 관점이다.

- 메이요, 뢰슬리스버거, 딕슨, 맥그리거, 셀즈닉 등이 대표적인 폐쇄 사회적 조직이론 학자이다.

- 종업원들의 업무태도, 작업집단 내 인간관계, 노조,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등에 관심을 두고 조직구성원들의 사기를 생산성과 연결한다.

- 외부환경 문제에는 소홀하였고, 지나치게 기업조직의 인간적 사회적 측면만을 강조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3) 개방- 합리적 조직이론

- 조직을 외부환경에 대해서 개방체계로 파악하였지만 조직 구성원들에 대해서는 다시 합리적 전제로 돌아갔다고 한다.

- 번스와 스토커, 챈들러, 우드워드, 로렌스와 로시, 톰슨등이 대표적인 이 학계의 학자이다.

- 환경을 이론에 반영하여 기업을 외적인 힘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 유기체의 생존원천에 대한 관점을 조직 내에서 외부환경으로 옮겼다.

- 현재는 관료제적 사고의 틀을 벗어날 수 있는 조직과 관리의 이론으로 타 환경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주는 상황적합이론의 관점으로 정리되어 조직개발 실행에 활용되고 있다.

 


 

■ 독일의 경영학사

이번에는 독일의 경영학사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1. 경영경제학으로서의 독일 경영학의 발달

독일은 세계대전에서도 패했지만 굳건히 세계 경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유럽 내 아니 세계에서 인정하는 경제대국입니다. 

(1) 경영경제학의 형성시대

- 19세기 말을 전후로 독일 경제가 약 10년동안 급속한 발전을 보임에 따라서 상업경영적 측면과 공업경영적 측면의 이론과 실제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새로운 이론적 기반이 필요해졌다.

- 곰베르크는 개별경제학을 상업경영학과 공업경영학으로 분류하였다.

- 개별경제학은 이후에 경제적 경영학, 사경제학, 경영과학 등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902년 이후에 독일 경영학의 정식명칭인 경영경제학으로 정착되었다.

 

2. 경영경제학의 발전

(1) 1차논쟁

- 1912년 바이 오만과 되니츠의 과학적 사경제학의 기초와 체계라는 책에서 발단이 된 것으로 슈말렌바흐와의 논쟁입니다.

- 주요 이슈는 경영학이 이론과학인지, 실천과학인지의 문제였으며, 바이 오만과 되니츠는 경제학에 근거를 두고 있는 학자들로서 이론과학을 주장했다. 하지만 슈말렌바흐와 이전 상업학의 회계, 계산제도에 관심을 두고 있었으므로 응용과학이자 기술론임을 주장하였다.

 

(2) 2차 논쟁

두 번째 논쟁이 있었다고 합니다.

- 리거가 1928년에 그의 저서 사경제학 입문에서 경영학은 순수과학이어야 함을 강조한 것에서 발단하였다.

- 기술론을 주장하는 슈말렌바흐를 선두로 한 쾰른학파와의 논쟁이기도 합니다.

- 1,2차 논쟁으로 기술론적 경향이 우세해졌던 경향이 있다.

 

(3) 3차 논쟁

- 1952년 구텐베르크의 경영경제학원리 제1권 - 생산론이 발표되면서 시작된 것으로서, 구텐베르크는 이론적 경제학과 이론과학적 경영경제학을 주장했으며, 멜레로비쯔를 비롯한 많은 학자들이 응용과학적 경영경제학을 주장하였다.

- 결과로는 구텐베르크를 추종하는 학자들이 더 많아서 이론적 경영경제학이 우세한 것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 3차 논쟁에서는 논쟁의 영역이 훨씬 많이 넓어져서 경영경제학(경영학)과 국민경제학(경제학)의 이론적인 통합의 문제, 경영경제학에 수학적 기법의 도입문제, 생산과 판매, 인사 조직론 등 경영학의 핵심분야를 포괄하고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4) 4차 논쟁

- 배경은 독일경제의 침체, 실업자의 증대, 석유쇼크, 경쟁질서의 후퇴, 기업집중, 독점현상, 미국 경영학의 현실의 설명능력에 대한 관심고조 등이 있다.

- 구텐베르크를 중심으로 하는 이론적 경영경제학에 대한 비판입장으로 하이넨, 슈미즈, 키르슈 등을 중심으로 하여 비판합리주의적 경영경제학이 대두되었고, 이외 나 클리슈를 추종하는 신규범주의 경영경제학의 대두로 규범론파가 부활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