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경영론, 계획화 4
5절 장기 전략계획
1. 배경과 개념
제2차 세계대전 후 순탄한 성장을 지속해 오던 미국경제는 1959년에 불황국면에 들어서게 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불황에서 미국의 기업들은 시장경기 예측에 지대한 관심을 쏟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래 환경의 측정과 경영계획 수립을 담당하는 기획실 제도가 많은 기업에 도입되었다.
이러한 기획실제도 도입에 큰 영향을 미친 또 다른 요인은 연방정부국방성의 PPBS제도 도입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제도는 1961년 출범한 케네디 정부의 국방장관이 도입한 것으로, 예산편성 시 과거 수치를 물가변동률로 조정하여 새 ㅇ산으로 산정하던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한 제도이다. PPBS 제도에서는 우선 조직이 추구하는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이를 예산을 편성하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제도였다.
그러나 1960년대 초 기획실에서 수행한 경기예측은 통계적 기법을 통한 양적인 예측으로서 신규업종에 참가 및 기존업종의 폐쇄 등과 같은 질적, 전략적 성격의 것은 아니었다. 즉 단기적으로는 투하된 생산시설의 조업도를 경기예측에 따라 효율적으로 조정하여 수급을 조절하고, 장기적으로 생산시설의 증설 및 감축과 이에 따른 자금수요를 예측하여 효율적인 자금 조달원을 선택하는 데 초점을 맞춘 계획 업무였다.
1950년대 말의 불황을 이기고 60년대 미국경제는 순탄한 성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장기를 마련한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면 기획실 제도 외에 두가지를 더 들 수 있다.
하나는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인공위성 발사였다. 그때까지 미국인들을 미국이 정치, 경제뿐만 아니라 기술,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소련을 앞섰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그만큼 이 스푸트니크 사건은 미국인에게 커다란 충격과 함께 자존심의 상처를 안겨주었다.
인공위성 발사에서 선수를 빼앗기고부터 대책마련에 부심하게 되었단 미국은 인문사회 중심이던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을 과학중심으로 바꾸고 그동안 소홀히 다루던 수학과목을 강화시켰다. 또한 1960년에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던 케네디는 미국이 비록 인공위성 발사에서는 소련에 뒤졌지만 달에 인류를 착륙시키는 꿈은 어느 나라보다 앞서서 그것도 1960년대가 가기 전에 실현하겠다고 선거공약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대통령에 당선된 케네디는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국립항공우주국을 설치하고 이를 통하여 우주산업에 대한 투자를 대규모로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 항공우주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어 비약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비록 케네디는 1963년에 암살되었으나, 그의 꿈은 그 후 아폴로계획으로 추진되어 1969년 7월 21일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의 표면에 착륙함으로써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국방장관이 되고 맥조지 번디가 대통령 정치보좌관이 되면서 당시 내전이 시작된 베트남 문제와 관련하여 군사력을 증강시킬 계획이 입안되었고, 이를 계기로 군수산업에 대한 투자가 관련분야를 활성화 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요인 등으로 미국경제는 1960년대에 또 다시 비교적 순탄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으나 1950년대의 성장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 1950년대의 경제성장은 인플레이션을 수반하지 않은 것임에 비해 1960년대는 인플레이션을 수반한 값비싼 성장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은 고정자산에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제조기업으로서는 환영할 만한 일이었고, 이러한 호황이 계획되자 60년대 초 성급하게 도입되었던 기획실 중심의 경영관리체계는 다시 마케팅 중심의 경영관리체계로 대체되었다.
1973년의 오일쇼크는 미국경제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으며, 59년의 불황보다도 훨씬 심각한 경기침체를 몰고왔다. 오일쇼크로 야기된 이 불확실성의 시대에 각 기업은 다시금 기획실을 찾게 되었으며, 1974, 75 년에 가서는 웬만한 중소기업까지도 기획실 제도를 도입, 운영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나타난 기획실과 1960년대 초의 기획실 업무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 1959년의 경기침체가 자연스러운 경기순환의 한 국면이었던 것과 달리 1973년 이후의 경기침체는 유가의 급작스런 상승과 공급중단이라는 외생변수의 영향으로 인하여 발생환 것으로서, 기업의 본질적이고 전략적인 문제와 직결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