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경영론, 호텔과 경영관리 2
제2절 일반 경영관리
1. 경영관리의 의의
기업을 구성하는 생산요소는 인적 요소와 물적 요소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인 적 요소가 수행하는 집행활동이 경영 내지 관리활동으로 기업의 경영자가 담당하고 있다.
경영 내지 관리활동이란 기업의 목적 달성을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인간 활동이다. 구 체적으로 관리활동이란 "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고 조직을 구성하며 필요한 인적자원을 충원하고 활동을 수행하게끔 지휘하고 나아가서 활동이 계획된 대로 이행 되도록 통제하는 인간의 활동"이라 정의할 수 있다.
경영관리의 개념은 함축적이고 포괄적이어서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경영관리란 "재화의 생산과 배급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조직의 활동을 능률적이고 유효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계획(Planning)하고 조직(Organization)하고 통제(Control)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경영관리는 일반적으로 계획 • 실시 • 통제(plan-do-see)란 순환적 관리 과정은 기업조직의 모든 계층, 모든 부문에서 이루어지는 관리과정이다.
2. 경영관리의 본질적 특성
쿤쯔(H. Koontz)와 오돈넬(C. O'Donnell)에 의하면, 경영관리학은 경영관리를 조직된 집 단 가운데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일을 수행시키고자 하는 과정 • 기능으로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관리과정론으로서 경영관리학은 이러한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위한 개념적인 틀 (conceptual framework)을 연구하고 그 기초가 되고 있는 제 원칙을 식별하여 관리의 이론 을 구축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경영관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과 본질적 특성에 대해서는 전통적으로 관리과정학파들 에 의해 주도되어 왔으며, 그 초점은 관리과정에 놓이게 되었다. 관리과정학파의 주창자로 일컬어지는 쿤쯔의 관리과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는 경 영관리의 본질적 특성을 관리과정적 기능으로 보고 모든 조직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조직 내 어느 경영계층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1) 첫째, 경영자가 수행하는 기본적인 관리기능이다.
경영관리의 본질은 경영자가 수행하는 기본적인 관리활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경영학자들이나 실무자들은 경영관리기능을 분석하여 유용한 조직이해의 지식체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리기능의 요소는 학자마다 다양하게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관 리기능의 과정적 요소를 구분하는 것과는 관계없이 관리기능을 특성에 따라 과정적 요소로 구분하여 개념화하고, 원칙을 발견하여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점, 그리고 수행방법으로서 여 러 가지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관리기능 연구의 공통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 금까지의 관리기능론의 지식체계는 관리기능을 어떻게 구분하여 개념화하고 그 원리를 이 론화하여 조직이 직면한 문제해결에 활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경영관리의 개념들을 과정 적 기능으로 볼 때 경영문제 해결에 이론적으로 또는 실무적으로 강점을 갖고 있음은 위에 서 지적되었다.
즉 경영관리의 과정적 개념은 조직 환경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경우에 보다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조직 환경이 급변하며 불확실성이 큰 동태적 환경일 경우에는 위의 관리과정적 기능의 원활한 수행은 한계가 있다. 즉 전통적 관리기능론의 계획수립기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전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안으로 경영자의 전략적 사고와 전략수행 능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경영자가 수행해야 할 임무는 이제 조직내부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외부 조직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도 수행될 임무가 부여되는 것이다.
2) 경영관리는 모든 조직에 보편적으로 적용된다
모든 경영 관리자들은 조직 내 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목표의 달성을 위해 최대한의 공 헌을 하도록 해야 할 책임을 갖고 있다. 따라서 경영관리는 규모, 목적, 형태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모든 조직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이다.
즉 경영관리는 대기업이나 중소 기업, 영리 기업이나 비영리 기업, 서비스업종의 조직이나 제조기업, 그리고 개인기업이나 회사형태의 기업, 학교, 병원, 교회 등의 모든 조직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이다.
따라서 어떤 조직이든 조직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영관리기능은 필수적인 것이다.
3) 경영관리는 조직 내 모든 계층별로 관리활동을 수행하는 데 노력하는 시간과 내용이 다를 뿐이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경영자의 관리기능은 조직계층별로 상대적 중요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최고경영층의 관리 수준은 하위계층의 관리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계획수립이나 조직화 기능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반면에 하위계층의 관리자들은 지휘 및 감독기능에 많은 노력을 하게 된다.
따라서 경영계층별로 요구되는 관리기술(managerial skil)도 다르게 된다.
이와 같이 경영관리기능은 조직계층의 수준에 관계없이 적용되는 보편성을 갖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경영관리기능의 의미는 수직적 계층의 분화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영활동을 의미하므로 본질적으로는 전반관리(general managemenf)를 지칭하는 것이다.
경영관리기능은 분화 양상에 따라 수직적 관리기능과 수평적 관리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직적 관리기능이란 조직계층의 분화에 의하여 경영자 층을 구분하는 것이며, 수평적 관 리기능이란 부문기능으로서 생산, 판매, 인사, 재무 등의 부문으로 분화되는 것을 말한다.
수직적 관리기능은 일명 관리자기능(managerial function) 또는 경영자기능(function of manager)과 동일한 개념이며, 부문기능과는 전혀 다르다.
즉 수직적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문관리기능(department businessfunction)이란 부문별 수평적 분화에 따라, 이를테면 생산관리, 마케팅관리, 재무관리, 인사관리 등과 같이 구분되는 것이다.
이를 도식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이 경영관리기능을 구분할 때 이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경영학의 학문체계는 경 영자의 전반관리기능의 본질 규명을 대상으로 하는 경영학원론과 부문관리론으로서의 경영 학 각론으로 구분되는 것이다.